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 LEARNED/이렇게쓰더라고18

[이렇게쓰더라고] argument와 parameter의 차이 ROS를 사용하다보니 구글 자체 번역을 쓰면 커뮤니티나 ros.org의 문장들에서 많이 보이는 argument나 parameter 까지 전부 해석하는 경우가 다반사라 찾아봤다. 문맥이 이상한 것도 당연하거니와 이해도 하고 영어도 좀 끄적일겸 공부했다. 문서에서 Parameter와 Argument를 번역기로 돌려버리면 의미 자체를 혼동하거나 이해가 어려울 수 있기에, 구분할 줄 알아야한다. Parameter는 함수나 메서드 정의에서 나열되는 변수명이지만, Argument는 함수나 메서드 호출 시, 전달 혹은 입력되는 실제 값이다. 즉, Parameter의 실체는 변수이며 Argument의 실체는 값이다. 단어 번역 의미 Parameter 매개변수 함수와 메서드 입력 변수(Variable) 명 Argumen.. 2023. 7. 11.
[이렇게쓰더라고] Doxygen C/C++ 주석 코드를 보다보니 Doxygen을 통해 접하게되는 것들이 있는데, 아직도 인텔리제이가 익숙한 것일까 한번 더 볼겸 정리해봤다. ctrl 누른 상태로 클릭시 코드 넘어가지는 것이 안되는게 VScode 너무 불편하다. 🔔우선 Doxygen이 무엇일까? 도큐멘테이션 생성기이자 소프트웨어 참조 설명문을 작성하기 위한 도구이다. 설명문은 코드 내에 작성되므로 상대적으로 최신화 상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한 편이다. Doxygen은 설명문과 코드를 상호 참조할 수 있으며 문서의 독자는 쉽게 실제 코드를 참조할 수 있다. 주석 항목은 @을 통해 명시할 수 있다. @author 작성자 이름 @brief 간략한 설명 기재 @bug 버그 @code 중요 코드 설명 시 시작 지점 설정 @date 작성날짜 @endcode 중요 코드.. 2023. 6. 15.
[이렇게쓰더라고] 칩 저항기 사이즈 2023. 5. 11.
[이렇게쓰더라고] 10Base-T에서 T는 무슨 뜻일까? LIN과 CAN에 대해서 공부하다보니 Base-T /TX /F /FX같은 말들이 보였다. Base가 Baseband라는 뜻은 알았지만, T나 F가 궁금해져서 알아봤다. 익히 보신분들은 알 수도 있지만, 이걸 검색할 정도면 궁금증에 찾아봤을 것이다. 우선 100Base는 100Mbps를, 1000Base는 1000 Mbps(1G)를 베이스밴드 방식으로 전송한다는 말이며, Base뒤에 붙는 FL, TX, FX등은 미디어 매체를 표현한다. BASE다음에 FL, FX등 F(Fiber)는 광케이블을 나타내며, TX, T 등 T(Twist)가 있으면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나타낸다. 추가로 Twist pair cable는 크게 UTP, STP, FTP로 나눌 수 있다. UTP는 Unshielded Twisted p.. 2023. 5. 8.
[이렇게쓰더라고] 참조, 화살표 연산자 ✅구조체를 가리키는 포인터 >>문법 struct 구조체명* 구조체포인터이름; ex) struct book* ptr_my_book; 배열과는 다르게 구조체의 이름은 구조체를 가리키는 주소는 아니다. 따라서 포인터에 할당 시 반드시 주소 연산자(&)를 사용해야 한다 ✅구조체 포인터를 통해 구조체 멤버에 접근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1. 참조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 2. 화살표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 >문법 (*구조체포인터).멤버변수명 >예제 (*ptr_my_book).author 참조 연산자(*)는 멤버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낮기에 반드시 괄호(())를 사용해야한다 구조체 멤버에 접근하기 위해 화살표 연산자 (->)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화살표 연산자의 앞에는 구조체 포인터, 뒤에는 접근하.. 2023. 5. 2.
[이렇게쓰더라고] this포인터 ? 되새길겸 this 따로 정리 🔔this? : 객체 자신에 대한 포인터로서 클래스의 멤버 함수 내에서만 사용된다 this는 전역 변수도 아니고, 함수 내에 선언된 지역 변수도 아니다. this 는 객체의 멤버 함수가 호출될 때, 컴파일러에 의해 보이지 않게 전달되는 객체에 대한 주소이다. 컴파일러에 의해 탄생하는 변수이다. this가 필요한 경우 Circle(){ this->radius = 1; //this->를 생략하고 radius = 1;로 해도 무관함 } 🔔this가 꼭 필요한 2가지 경우 1️⃣멤버 변수의 이름과 동일한 이름으로 매개 변수 이름을 짓고자 하는 경우 chicken(int BBurinkle){ this->BBurinkle = BBurinkle; } 위와 같은 경우에 this를 기입해줘야.. 2023. 4. 26.
[이렇게쓰더라고] 엑셀 함수 정리 오타나 오류있으면 지적 감사합니다 본인 참고용으로 정리 1. 수학 함수 함수명 표시 형식 설명 SUM =SUM(수1, 수2) =SUM(범위:범위) 합계 ROUND =ROUND(수,자릿수) 반올림 ROUNDUP =ROUNDUP(수,자릿수) 올림 ROUNDDOWN =ROUNDDOWN(수,자릿수) 내림 PRODUCT =PRODUCT(수1,수2) =PRODUCT(범위:범위) 곱 SUMPRODUCT =SUMPRODUCT(수,자릿수) 모두 곱합 SUMIF =SUMIF(수,자릿수) 조건에 맞는 합계 값 ABS =ABS(수) 절대값 MOD =MOD(수,나누는 수) 나머지 INT =INT(수) 정수 TRUNC =TRUNC(수,[소수점 자릿수]) 버림 2. 통계 함수 함수명 표시형식 설명 AVERAGE =AVERAGE(수.. 2023. 3.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