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렇게쓰더라고11 [이렇게쓰더라고] 참조, 화살표 연산자 ✅구조체를 가리키는 포인터 >>문법 struct 구조체명* 구조체포인터이름; ex) struct book* ptr_my_book; 배열과는 다르게 구조체의 이름은 구조체를 가리키는 주소는 아니다. 따라서 포인터에 할당 시 반드시 주소 연산자(&)를 사용해야 한다 ✅구조체 포인터를 통해 구조체 멤버에 접근하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1. 참조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 2. 화살표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 >문법 (*구조체포인터).멤버변수명 >예제 (*ptr_my_book).author 참조 연산자(*)는 멤버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낮기에 반드시 괄호(())를 사용해야한다 구조체 멤버에 접근하기 위해 화살표 연산자 (->)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화살표 연산자의 앞에는 구조체 포인터, 뒤에는 접근하.. 2023. 5. 2. [이렇게쓰더라고] this포인터 ? 되새길겸 this 따로 정리 🔔this? : 객체 자신에 대한 포인터로서 클래스의 멤버 함수 내에서만 사용된다 this는 전역 변수도 아니고, 함수 내에 선언된 지역 변수도 아니다. this 는 객체의 멤버 함수가 호출될 때, 컴파일러에 의해 보이지 않게 전달되는 객체에 대한 주소이다. 컴파일러에 의해 탄생하는 변수이다. this가 필요한 경우 Circle(){ this->radius = 1; //this->를 생략하고 radius = 1;로 해도 무관함 } 🔔this가 꼭 필요한 2가지 경우 1️⃣멤버 변수의 이름과 동일한 이름으로 매개 변수 이름을 짓고자 하는 경우 chicken(int BBurinkle){ this->BBurinkle = BBurinkle; } 위와 같은 경우에 this를 기입해줘야.. 2023. 4. 26. VI 명령어 간단정리 두둥탁 이래저래 선배님들께 여쭤보기가 좀 그래서, 공부도 할겸 정리했다. 해당 명령어는 linux, unix 에서 사용하는 vi 편집기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1️⃣명령 모드(command mode)의 명령어들 - esc 눌렀을 때 또는 vi를 들어가면 나오는 첫 상태 - 별도의 다른 입력없이 바로 명령이 들어간다. vi 명령어 동작 i - 현재 커서 위치에 삽입 (입력모드로 넘어감) a - 현재 커서 바로 다음위치에 삽입 (입력모드로 넘어감) o - 현재 줄 다음 위치에 삽입 (입력모드로 넘어감) - 영문 오(o) x - 커서가 위치한 곳의 글자 1개 삭제 (5x : 문자 5개 삭제) dw - 커서가 위치한 곳에서 부터 단어 삭제 (커서가 위치한 곳 부터 띄어쓰기 까지) dd - 커서가 위치한 곳.. 2023. 4. 14. [이렇게쓰더라고] 엑셀 함수 정리 오타나 오류있으면 지적 감사합니다 본인 참고용으로 정리 1. 수학 함수 함수명 표시 형식 설명 SUM =SUM(수1, 수2) =SUM(범위:범위) 합계 ROUND =ROUND(수,자릿수) 반올림 ROUNDUP =ROUNDUP(수,자릿수) 올림 ROUNDDOWN =ROUNDDOWN(수,자릿수) 내림 PRODUCT =PRODUCT(수1,수2) =PRODUCT(범위:범위) 곱 SUMPRODUCT =SUMPRODUCT(수,자릿수) 모두 곱합 SUMIF =SUMIF(수,자릿수) 조건에 맞는 합계 값 ABS =ABS(수) 절대값 MOD =MOD(수,나누는 수) 나머지 INT =INT(수) 정수 TRUNC =TRUNC(수,[소수점 자릿수]) 버림 2. 통계 함수 함수명 표시형식 설명 AVERAGE =AVERAGE(수.. 2023. 3. 2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