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AN3 [개념쌓기] CAN & ETH CAN (Controller Area Network) 장점: 대역폭 효율성: CAN은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간 통신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더 낮은 전력 소비 : CAN은 전력 소비가 적은 이점을 가진다. 이는 자동차 및 기타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유용하다. 신뢰성과 안정성: CAN은 신뢰성이 높고 안정적인 통신을 제공하며, 오류 감지 및 복구 메커니즘이 내장되어 있다. 단점: 제한된 대역폭: CAN은 대역폭이 상대적으로 낮아 대량의 데이터를 높은 속도로 전송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는다. 제한된 전송 거리: CAN은 주로 차량 내부 또는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므로 전송 거리가 제한된다. 제한된 표준 데이터 속도: CAN은 일반적으로 높은 데이터 전송 속.. 2023. 11. 28. [흥미를 더하다]LIN 통신?(2) LIN을 CAN과 비교 설명하기 위해 CAN에 대해 먼저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CAN(Controller Area Network) : 차량 내 호스트 컴퓨터 없이 마이크로 컨트롤러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 차량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들은 CAN 프로토콜을 사용해 통신한다. 초기에 차량 네트워크용으로 개발됐으나 최근에는 차량뿐만 아니라 산업 분야에 폭넓게 적용된다. CAN 특징 1️⃣ 메시지 지향성 프로토콜(Message-Oriented Protocol) : 메시지의 우선순위에 따라 ID를 할당하고, ID를 통해 메시지를 구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메시지가 자신에게 필요한 메시지인지를 ID를 기반으로 판단하며, 자신에게 필요하다면 받아들이고 아니.. 2023. 5. 7. [흥미를 더하다] CAN 통신? (1) 1. CAN 통신? : Controller Arean Network의 약자로, 차량 내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 차량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들은 CAN 프로토콜을 사용해 통신한다 초기에는 차량 네트워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엔 차량에만 국한되지 않고 의료, 로봇 등 전 분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모듈들이 통신을 위해 UART통신을 사용했다. 그러나 UART통신의 특징처럼 통신 모듈의 추가로 인한 추가적인 연결 선들로 인해 자동차 내의 공간 차지 및 자동차 무게의 증가로 인해 원가를 상승시키게 됐다. 이로 인해 CAN 인터페이스의 개발은 여러 모듈의 제어와 연결선의 감소 및 자동차 부피의 감소로 이어졌다. CAN 통신은 위와 같이 여러.. 2023. 5.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