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오토마타3

[개념쌓기] 오토마타 - 3 유한 오토마타의 구성 M=(Q,∑,q0,F,δ) 유한 오토마타는 위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Q Q는 유한 오토마타가 가진 상태의 집합이다. 상태의 개수는 유한하므로, Q의 원소 개수도 유한하다. 보기의 예시로 유한 오토마톤은, off와 on 두가지 상태가 Q의 원소에 해당한다 ∑ ∑는 입력으로 주어지는 알파벳이다. 위의 유한 오토마타의 경우, push라는 입력만이 존재하며 알파벳은 push이다. q0 q0은 시작 상태를 의미하며, 유한 오토마타는 항상 시작 시, 어떤 상태에서 시작할지 표기되어 있다. 화살표의 도착 상태가 유한 오토마톤의 시작 상태를 나타낸다. F F는 마지막 상태(final states)를 의미한다. 입력이 끝난 후, FA의 마지막 상태에 있다면 그 문자열은 받아들여진다 판단한다. .. 2024. 1. 20.
[개념쌓기] 오토마타 - 2 ✔ 형식 언어의 요소와 연산 1️⃣ 형식 언어 : 실제 사람이 사용하는 모호한 자연어와 달리, 정해진 형식대로 구성하여 오토마타가 인식할 수 있는 인공적인 언어 2️⃣ 심볼 (Symbol) : 어떤 언어를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 혹은 기호 : 어떤 언어에 사용되는 기호들 ex) 한국어의 심볼 : ㄱ,ㄴ,ㄷ // ㅏ, ㅑ, ㅓ, ㅕ 영어의 심볼 : a, b, c.... 3️⃣알파벳 (Alphabet) : 심볼의 비어있지 않은, 유한한 집합 어떤 언어의 알파벳은 1개 이상 유한한 심볼을 포함해야 한다. 한국어의 알파벳인 한글은 자모음 40개로(표준 발음법 기준) 알파벳의 정의에 부합한다. 영어의 알파벳도 마찬가지로 26개로 알파벳의 정의에 부합한다. 어떤 알파벳의 심볼 집합을 표현하기 위해 이처럼 표기한.. 2024. 1. 15.
[개념쌓기] 오토마타 - 1 요즘 귀감이 되고 있는 분과 얘기를 나누다보니, 무엇을 하고 싶은 지에 대한 얘기가 나왔다. 이야기가 흘러흘러 가다보니, 기술동향에 대해 얘기를 하게 되고 어쩌구 저쩌구 하다보니 오토마타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이 왔다. 영화 '크리에이터' 나 게임 "니어 오토마타"를 유튜버들이 한다고 하는 것에서만 들어봤지. 이것에 대해 궁금증을 가진 적이 없었다. 문득 그래서 이게 뭐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분이 현재 종사하시는 분야는 다르신데, 에 대한 정보가 엄청나셔서 쪼메 므싯어 보였다. 🔔오토마타 이론(Automata Theory) : 계산 능력이 있는 추상 기계와 그 기계를 통해 풀 수 있는 문제들을 연구하는 컴퓨터 과학의 분야 : 추상적인 연산 장치(오토마톤)가 계산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않.. 2024.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