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anguage & Framework & GIT116 [LINUX] LINUX 기본 명령어 🔎 명령어 옵션&설명 1. ls (List segments) : 현재 위치의 파일 목록 조회 ls -l : 파일의 상세정보 ls -a : 숨김 파일 표시 ls -t : 파일들을 생성시간순(제일 최신 것부터)으로 표시 ls -rt : 파일들을 생성시간순(제일 오래된 것부터)으로 표시 ls -f : 파일 표시 시 마지막 유형에 나타내는 파일명을 끝에 표시 ('/' : 디렉터리, '*' : 실행파일, '@' : 링크 등등,,,) 2. cd (Change directory) :디렉터리 이동 cd [디렉터리 경로] : 이동하려는 디렉터리로 이동 (경로 입력 시 '[', ']'부분은 빼고 입력!) cd ~ : 홈 디렉터리로 이동 cd / : 최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 현재 디렉터리 cd .. : 상위 디렉.. 2023. 11. 6. [GIT] GIT 많이 쓰는 명령어 모음 갑자기 뭔 GIT 명령어냐 하길래, 어쩔티비다. 내가 헷갈리는데 우짬, 집사해주던가 ▶기본 명령어 현재 상태 확인 (내가 제일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git status 전체 로그 확인 git log git 저장소 생성하기 git init 저장소 복제 및 다운로드 git clone [https: ~~~~ ] 저장소에 추가 git add git add * 커밋에 파일의 변경 사항을 한번에 모두 포함 git add -A 커밋 생성 git commit -m "message" 변경 사항 원격 서버 업로드 (push) git push origin master 원격 저장소의 변경 내용을 현재 디렉토리로 가져오기 (pull) git pull (흔히들 pull로 당겨오라고, 전설의 LEGEND같이 push로 밀더라고).. 2023. 11. 2. [GIT] GIT COMMIT MSG 작성법 예전에 SPRING프로젝트를 하며, 코드 컨벤션에 관해 정리했던 적이 있다. 머리에는 안남아있는데, 막론하고 GIT LOCAL COMMIT 진행하다보니 관련 내용 정리하게됨 ㅇㅇ 커밋 메시지( COMMIT MESSAGE )? working dir(작업중인 로컬 디렉터리)에서 git add를 하게되면 변경된 파일의 목록이 index(stage)에 추가가 되는데 이 파일의 목록들을 HEAD(확정본)에 반영을 시킬 때 git commit을 쓰게 된다 commit message는 쉽게 말하면 HEAD에 어떤 변화가 반영이 되었는지 설명하기 위한 글이다 규칙에 맞는 좋은 커밋메시지를 작성해야 하는 이유는? 팀원과의 소통 편리한 과거의 기록 추적 Commit Options -m 커밋 메시지를 작성 git add f.. 2023. 11. 2. [ROS] ROS2, No executable found ❗❗❗If you run [ros2 run] and you get the above error, follow along as follows. check in CMakeLists.txt install(TARGETS DESTINATION lib/${PROJECT_NAME}/ ) After building: source install/setup.bash and finally: ros2 run [package_name] [executable_name] it will be solve the issue The reason why I suddenly wrote Eng is because I thought my eyes would pop out while watching the code, so I wrote it to.. 2023. 11. 1. [ROS] ROS 1, 2의 rosbag 주요 차이점 ROS 1, 2의 rosbag 주요 차이점 1. 데이터 형식 ROS 1: ROS 1에서는 메시지 형식을 .msg 파일을 사용하여 정의한다. ROS 2: ROS 2에서는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 형식을 사용하여 메시지 형식을 정의한다. 이로 인해 ROS 2의 메시지 정의는 여러 언어와 플랫폼에서 메시지 정의를 공유할 수 있다. 2. 성능 및 확장성 ROS 2의 rosbag2는 ROS 1의rosbag보다 성능과 확장성 면에서 향상되었다. 더 큰 데이터셋과 빠른 녹화/재생 속도를 처리할 수 있다. 3. ROS 1과 ROS 2의 호환성 ROS 1의 rosbag은 ROS 1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ROS 2와의 완전한 호환성이 없습니다. ROS 2의 rosbag2는 ROS 2와.. 2023. 11. 1. [ROS] node 노드(node) : 최소 단위의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를 가리키는 용어 ROS에선 보통 최소한의 실행 단위로 프로그램을 나누어 작업한다. 수많은 노드들이 연동되는 ROS 시스템을 위해서는, 노드와 노드 사이에 입출력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설계해야한다. 이 때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이터를 메시지(Message)라고하며, 방식을 메시지 통신(Message Communication)이라고 한다. 메시지를 주고 받는 통신 방법에 따라 토픽(Topic), 서비스(Service), 액션(Action), 파라미터(Parameter)로 나눌 수 있다. 노드 실행(ros2 run) ros2 run : 하나의 노드를 실행시키는 커맨드 ros2 launch : 하나 이상의 노드를 실행시키는 커맨드(복수의 노드를 실행시키.. 2023. 10. 29. [ROS] Turtlesim ROS 개발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ROS 커뮤니티에서 제일 널리 쓰이는 패키지이다. 그만큼 역사가 있는 패키지라 하니 알아보자.. turtlesim은 기본적으로 ros2 개발환경 구축의 설치 방법대로 설치 시 설치가 되나, 혹시 없다면 다음 명령어를 쓰자$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ros - humble(본인의 ros버전명을써주자) - turtlesim 일반적으로 쓰는 ros2 pkg list 를 통해 다운로드 시, turtlesim이 포함되어 있다. ros2 pkg executables turtlesim turtlesim draw_square //사각형 모양으로 turtle을 움직이게 하는 노드 turtlesim mimic //유저가 지정한 토픽으로 동일 움직임의 거북.. 2023. 10. 29. 이전 1 2 3 4 5 6 ···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