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책벌레와 벌레 그 사이 어딘가/개념쌓기68

[개념쌓기]EOF? EOF? : End Of File의 준말이며, 파일의 끝을 표현하기 위해 정의해 놓은 상수(-1의 값을 지닌다) 함수 호출의 실패나, 윈도우 ctrl +z, 리눅스에서 ctrl + d를 입력했을 경우 EOF를 반환한다. 즉, 파일을 대상으로 fgetc (읽기함수)가 호출되었을 때 그 파일의 끝에 도달하면 EOF (= -1)이 반환되어 끝을 알린다. 궁금하면 읽어보자 Techopedia에서 EOF (파일 끝) 설명 다른 파일 시작 또는 BOF와 함께 파일 끝은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일부 데이터 세트의 경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텍스트 파일 끝에서 텍스트를 분석하는 루프 또는 반복 프로그램은 EOF 태그를 인식하고 파일 끝에 도달하면 작업 수행을 중지 할 수 있습니다. BOF 및 EOF 마커는 프로그래밍.. 2023. 5. 4.
[개념쌓기] 영상처리? ✅영상처리? : 디지털 영상을 분석하고, 변환하고, 개선하는 기술 영상처리의 기본 개념과 기술 ▶영상 픽셀 : 영상은 픽셀(pixel)로 이루어져 있으며, 픽셀은 이미지에서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픽셀은 흑백 또는 컬러 값을 가지며, 픽셀의 집합으로 영상이 구성됩니다. ▶필터링 : 영상 처리에서 필터링(filtering)은 이미지를 부드럽게 하거나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영상의 경계를 강화하거나, 선명도를 조절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엣지 검출 : 엣지 검출(edge detection)은 이미지에서 경계선을 찾아내는 기술입니다. 엣지 검출을 통해 영상의 형태, 크기, 위치, 방향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객체 인식 : 객체 인식(object recognition)은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중요한 기술.. 2023. 4. 25.
[개념쌓기]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Cloud Migration)?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 기존의 온프레미스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의 이전 과정을 말한다 이는 기존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의 이전으로,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에 이전하는 프로세스입니다. 그럼 온프레미스 시스템은 뭘까? 온프레미스란 기업의 서버를 클라우드 같은 원격 환경에서의 운영이 아닌,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를 통한 운영 방식을 의미한다. 온프레미스는 클라우딩 컴퓨팅 기술 이전까지의 기업 인프라 구축의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온프레미스 시스템의 장점은 기업의 비즈니스 정보를 보안성 높게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고, 단점은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간다는 것이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중요한 데이터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2023. 4. 24.
[개념쌓기] 바이너리 파일? 텍스트 파일? ☑바이너리 파일? :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형식 프로그램 코드, 이미지, 오디오 등의 이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텍스트 에디터로 열 수 없으며, 전용 프로그램이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읽거나 수정할 수 있다. 조금 풀어서 말하자면, 디스크와 같이 저장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말한다. 특정 운영체제 및 아키텍처에서 접근가능한 형식으로 컴파일 되어 실행할 준비가 됐지만, 아직 실행되지는 않은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컴파일됐다 라는 의미는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변환했다라는 뜻이다. IT에서 의미하는 바이너리는 프로그램을 지칭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텍스트 파일? :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형식(.txt) 문자열은 아스키 코드, 유니코드 등의 문자 인코딩 .. 2023. 4. 18.
[개념쌓기]마이그레이션(migration)? 일단 migration이 이주라는 것은 다들 익히 들어서 알고 있을 것이다. 몰랐다고? 이제 알았으니 됐다. 배움에 때가 어딨어유 그렇다면 업계에서 쓰는 migration은 무슨 의미일까? migration 사전적 의미 1.명사 (사람·철새·동물의 대규모) 이주[이동] 2.명사 (컴퓨터 시스템·프로그램의) 이송[이행(移行)] 3. [정보·통신] 컴퓨터에서, 한 운영 체계에서 더 나은 운영 체계나 새로운 운영 체계로 옮겨가는 과정. 정보기술에서, 마이그레이션이란 한 운영환경으로부터, 대개의 경우 좀더 낫다고 여겨지는 다른 운영환경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말한다 마이그레이션은 한 종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른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를 옮기는 경우도 될 수 있다. 이것은 대체로 이전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출력.. 2023. 4. 13.
[개념쌓기] 저항 & 커패시터 & 인덕터/ 표준저항? 커패시터, 인덕터는 전자 공학에서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1. 커패시터(Capacitor) 전기적으로 축적된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 일시적으로 전압이 떨어지거나 안정성이 필요한 경우 사용 저항이 거의 없으며,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등의 역할 수행 2. 인덕터(Inductor) 전기적인 에너지를 자기 에너지로 축적하는 장치 전기 에너지가 흐를 때 자기장이 생기면서 전류의 변화에 저항을 준다 일반적으로 저항이 있는 전기 회로에서 사용되며, 저항이 낮을수록 자기 에너지가 커지고 반대로 저항이 높을 수록 자기 에너지가 작아진다. 부품 조사를 하다보니 표준저항과 오차 범위 등 여러 가지 내용이 포함된 것을 봤다. 들어는 봤으나, 궁금증이 이제서야 생겨서 알아봤다. 표준 저항(Standard R.. 2023. 4. 10.
[개념쌓기] IDE? Code Editor? 다들 사용하고 있겠지만, 궁금증이 생기지 않았다면 그저 코드 작성해주고 알아서 해주는거 정도로 알고 있을듯하다. 우선 결론부터 말하면 IDE가 code editor의 일종이다. Code Editor는 흔히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통합 개발 환경)와 경량 에디터로 나뉜다.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통합 개발 환경) 통합 개발 환경은 강력한 에디터로, 보통 프로젝트 전체를 맡아 주관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단순한 에디터가 아니기에 강력하며, 개발 환경을 쾌적하게 해주는 통합 환경을 제공한다. IDE는 수많은 파일로 구성된 프로젝트를 불러오며, 파일 간의 탐색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하게 해준다. 열려있는 파일뿐만.. 2023. 4.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