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리프(Thymeleaf)
템플릿 엔진(Template Engine)
- 웹 서비스를 만들 떄에는 서버의 데이터와 정적자원(html, css, image)을 조합해야 한다.
- 서버에서 데이터를 보내 웹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SPA(Single Page Application)
- 최초 한번 전체페이지를 다 불러오고 응답데이터만 페이지 특정부분 렌더링.SSR(Server Side Rendering)
- 전통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방식. 요청시마다 서버에서 처리한 후 새로고침으로 페이지에 대한 응답.
타임리프는 템플릿 엔진 중 하나로, Spring Boot에서는 JSP가 아닌 Thymeleaf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API? SDK ? JDK? (알더라도 한번더)
API란?
API라는 것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의 약자로, 운영체제가 응용프로그램을 위해 제공하는 함수의 집합으로
응용프로그램과 디바이스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 현재하는 프로젝트에서는 웹디자이너 분이 뷰를 만들어주시면 프론트엔드분들과 백엔드분들이 같이 api를 설계했다
SDK란?
Software Development Kit 의 약자로 API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다.
프로그래머들을 위해서 제공하는 개발 도구들인데, 예를들면 IOS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려면 IOS SDK 를 이용한다.
SDK 안에는 IDE(통합개발환경) 을 포함하는데, 이에는 여러 API, 디버깅, 문서 등 여러 도구가 들어가있다.
JDK란?
자바 플랫폼의 등장 이래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일단 JDK는 사진과 같이 JVM < JRE < JDK 순으로 범위안에 존재한다.
그래서 JDK를 설치했을 때 많은 프로그램중에서 JVM 프로그램이 깔려 java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JDK(Java Development Kit)는 JVM(Java Virtual Machine), JRE(Java Runtime Environment)가 포함된 패키지로서 java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3가지 핵심 기술 패키지 중 하나다.
각각의 정의를 살펴보면
- JVM 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Java 플랫폼 구성 요소.
- JRE 는 JVM을 생성하는 Java의 디스크 상의 부분.
- JDK를 사용하면 개발자가 JVM 및 JRE에서 실행 및 실행할 수 있는 Java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1. 개발자가 java 프로그램을 만들고 저장(bulid)을 하면 소스코드를 바이트코드로 컴파일을 하게 된다.
2. 컴파일 된 java 프로그램은 JRE가 런타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실행 된 파일은 클래스 ClassLoader를 통해 JVM상으로 올려 놓는다.
코드를 통해 입력을 하면, 카멜케이스는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대문자가 _소문자로 바뀌어서 나온다
'책벌레와 벌레 그 사이 어딘가 > 개념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념쌓기]ElasticSearch ,검색 엔진 ? 검색시스템? (0) | 2022.09.13 |
---|---|
[개념쌓기]왜 S3를 쓰는걸까? (0) | 2022.09.02 |
[개념쌓기] Docker (0) | 2022.08.26 |
[개념쌓기] 로드밸런싱? (0) | 2022.08.25 |
[개념쌓기]SSL? HTTPS? (0) | 2022.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