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o1 [개념쌓기] @DTO @VO 문제는 본질이다. 본질적인 것이 변화되지 않는 한 나머지 잡다한 것 들은 달라지더라도 단지 외양만 바꾼 것일 뿐이다. 언제쓰는지는 알게 되었으나 왜 쓰는지가 궁금해져서 알아보게 되었다. DTO? 프로세스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객체 "리펙토링"의 저자 마틴 파울러가 DTO를 어떻게 정의했는지 참고하면, 우리가 원격 인터페이스로 작업을 할 때, 호출에 따른 비용은 매우 비싸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요청의 횟수를 줄여야 하고, 이를 위해 한번의 요청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우리는 이를 수행하기 위해 많은 매개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프로그래밍하기 어려운 방법일 뿐더러, JAVA에서는 반환값으로 여러 개의 값을 받을 수 없으므로 더욱 불가능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 2022. 8.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