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RIT3 [책을남기다] GRIT - 3 낙관론자는 으레 자신의 고통에 대해 일시적이고 구체적인 이유를 찾는 반면에 비관론자는 영구적이고 전반적인 원인을 탓했다. 우리의 감정과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은 객관적인 사건 자체가 아니라 주관적인 해석이라는 사실이다.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할 수 있을 것이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할 수 없을 것이다.' 실패를 자신에게는 성공할 능력이 없다는 증거가 아니라 더 노력해야한다는 신호로 해석하자 인생이란 스스로에 대한 도전이며 이전에는 하지 못했던 일을 할 수 있도록 배우는 것 좌절과 실패를 맛보더라도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지 말자. 이럴 때는 한 걸음 물러나 원인을 분석하고 교훈을 얻어야 한다. 그리고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내가 버틸 수 있는 힘은 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나온다. 그 믿음은 .. 2024. 3. 12. [책을남기다] GRIT - 2 열정을 찾으러 다닌것이 아니라 열정을 만들어냈다. 그릿은 아주 오랫동안 동일한 상위 목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매우 다른 상위 수준의 목표들로 활동이 분산되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궁극적인 목표는 단 하나여야한다. 자기 성찰을 통해 당신의 목표들을 정하고, 그것들이 열정의 대상인 단 하나의 목표와 일관시키도록 집요하고 완강하게 해내라 즉 우리는 필요할 때 변한다. 필요는 적응의 어미니다. 문제의 목표가 상위 수준의 것일 수록 그들은 더욱 고집스럽게 끝을 보려한다. 어떤 일을 시도했을 때 얼마나 좋은 결과를 누릴지는 열망과 열정, 관심의 정도에 달려 있다. 관심사를 발견한 뒤 오랜 시간 주도적으로 관심을 발전시켜야 한다.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해주는 타인의 영향도 중요하다. 자극과 정보, 긍정적.. 2024. 2. 11. [책을남기다] GRIT - 1 길게 보면 재능보다 끝까지 하겠다는 집념이 더 중요하다 잠재력을 갖고 있는 것과 그 잠재력의 발휘는 별개이다 성취의 결정적 요인은 열의와 노력으로 지적 능력보다 중요하다 탁월함은 평범함 속에서 나온다 모든 완전한 것에 대해 우리는 그것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묻지 않는다. 우리는 마치 그것이 마법에 의해 땅에서 솟아난 것처럼 현재의 사실만을 즐긴다. 사고를 한 방향으로 모아 모든 것을 소재로 활용하여 자신과 타인의 내면을 부단히 관찰하며 어디에서나 본보기와 자극을 찾아내고, 지칠 줄 모르고 자신의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사람들이 위대한 업적을 이룬다. 많은 이들이 시작했던 일을 너무 빨리, 너무 자주 그만두는 듯하다 재능은 선천적으로 타고나지만 기술은 무수히 많은 시간동안 다듬을 때만 향상된다 노력하지 않을 때.. 2024. 2.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