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lasticsearch3

[개념쌓기]Elastic Search 한번에 적을 수도 있는거를 뭐이리 주저리주저리 써놨냐 할수도 있다. 그러면 나가 이 럇샤이마세 결론은 엘라스틱과 관련된 개념을 정리하는 것도 있지만, 내가 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엘라스틱 서치 도입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그래서 왜 썼냐고 물어봤을 때, "그냥요","좋다하길래","빠르다길래" 이런 뻔한 변명이 아닌 확실한 대답을 위해서 정리하게 됐다. 아직도 부족한 부분이 많기에 새로운 내용을 알게될 때마다 정제해서 블로깅할 계획이다. 서론이 길었다 💡엘라스틱 서치(Elastic Search) 가 무엇일까? - 빅데이터의 시대에 들어서면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는 것이 중요하게 됐다. 기존 RDMS의 시대에서 NoSQL(No Structured Query Language)로 많.. 2022. 9. 24.
[개념쌓기] Split-Brain? ES(ElasticSearch)관련 개념을 볼때마다 Split-Brain(뇌분할)이 나오길래 뭔지 궁금해서 우선적으로 알아보게 되었다. Split-Brain 을 먼저 말하기 전에 마스터 노드에 대해서 Elasticsearch 뿐만 아니라 클러스터로 작동하는 모든 서비스들은 공통적으로 마스터 후보 노드를 홀수개로, 그리고 최소 살아있어야 하는 노드 수를 n/2+1로 설정하라고 권장한다. 왜일까? ElasticSearch에서는 장애시 즉시 복구를 위해 마스터 노드를 멀티로 구성한다 마스터 노드는 이중 1개가 선출되어 사용되는데 선출된 노드가 에러가 생길 시에 후보군 중 다른 마스터노드가 이것을 대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멀티로 된 마스터노드는 서로 간 health check가 되어야하고 데.. 2022. 9. 22.
[개념쌓기]ElasticSearch ,데이터 사이언스 노력은 성공의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은 아니다 노력조차 하지 않는다면 기회조차 없다 4차 산업혁명 으로 인해 초연결성/초지능화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사물 인터넷(IoT) 및 클라우드 등 정보통신기술(ICT)를 통해 인간과 인간,사물과 사물,인간과 사물이 상호 연결됐다. 빅데이터/인공지능 등으로 지능화된 사회로 변화가 이루어졌다. 데이터와 가치 - 빅데이터 시대의 데이터 가치 : 빅데이터 시대에는 대량의 정보 속에서 사회를 발전시킬 중요한 가치의 지식을 찾아내 의사 결정 단계에서 적시 적소에 활용하는 것이 중요 : 중요한 정보를 관계형 DB 기반 체계적인 관리에서 빅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된다 : 현 프로젝트(HomecomingDay)에 사용할 ELK 스택을 사용시,효율적 .. 2022. 9.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