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eadlock1 [자료 구조] 교착상태 상호배제, 점유대기, 비선점, 환형대기 많이 들었지만, 흐릿한 기억에 선명함을 더하려고 한다. 💡데드락(Deadlock) 교착상태라고도 불리는 이것은 시스템 자원에 대한 요구가 서로 엉켜 무한 대기를 발생시키는 상황을 일컫는다. :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한 자원을 서로 기다릴 때 무한 대기에 빠지는 상황 프로그램 상에서 교착 상태는 동기화 과정에서 일어나며, 동기화를 해주는 코드에 문제가 생기면 프로세스는 멈추게 된다. 세마포어, 뮤텍스 등의 동기화를 위한 코드가 프로그래머의 실수를 통해 동기화가 제대로 안된다면, 프로세스가 멈추게 되는 것이다. 💡데드락(Deadlock)의 발생 조건 데드락은 한 시스템 내에 네 가지 조건이 동시에 성립 할 때 발생한다. 따라서 4가지 조건 중 하나라.. 2023. 1.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