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DAS3

[흥미를 더하다]고오급 (경쟁력)있는 ADAS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ADAS시스템에서 경쟁력이 있으려면 무엇이 부각되어야 할까? 1. 안전성과 신뢰성 : ADAS는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해야하기에, 높은 신뢰성과 예측 가능한 동작이 필수적이다. 시스템의 오작동을 방지하며, 갑작스런 상황에서도 정확한 작동이 필요하다. 2. 고급 센서 기술 : 센서 기술의 수준이 즉, ADAS의 성능이다. 고해상도 카메라, 라이다, 레이더 등의 센서를 사용해 주변 환경을 정확하게 감지하며 해석가능해야 한다. 3. 데이터 통합과 분석 :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분석해 운전 환경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사전에 위험을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능력 강화가 필요하다. 4. 머신 러닝과 인공지능 : 머신 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통해 주행 데이터를 학습하여 실시간 판단 능력이 갖.. 2023. 8. 22.
[흥미를 더하다]ADAS 센서 기술 주로 다루는 센서 기술에 대해 정리했다. ADAS의 센서 기술은 크게 레이더, 초음파, 라이다, 카메라로 나눌 수 있다. ✅레이더(Radar) : 레이더(Radio Detection And Ranging, Rador)는 전자파를 쏘아 어떤 물체에 부딪혀 돌아오는 반사파의 거리, 속도, 방향 등을 측정해 대상을 인식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레이더는 악천후 등 열악한 기상에도 강하며, 여러 환경적인 조건에서 안정적이며 효과적이다. ADAS에는 단거리 레이더(SRR), 중거리 레이더(MMR), 장거리 레이더(LRR)로 나눌 수 있다. ✅라이다(LIDAR)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LIDAR)는 레이더와 기본원리는 같으나 전파 대신 레이저 형태의 광신호를 사용한다는 점이 차이가 .. 2023. 4. 21.
[흥미를 더하다] 자율주행 자동차 :: ADAS 기술 자율주행 자동차가 거의 다 왔다. 이제 범블비만 기대하면 되는 것인가? 범블비 나오면 바로 한 친구 데려왔겠지만, 현실은 프로젝트 관해서 공부도 할 겸 기술이라도 제대로 인지하고자 공부하게 됐다. 자율주행 레벨 레벨 0은 비자동화라는 말 그대로 자율주행 시스템이 없는 비자동화 단계로 운전자가 모든 면에서 차량을 컨트롤하는 단계이다. 레벨 1은 운전자 보조 단계로 방향, 속도 제어 등 특정 기능은 자동화가 되어 있지만 운전자가 차의 속도와 방향을 항상 통제할 필요가 있다. 레벨 2는 부분 자동화를 이룬 단계로 고속도로와 같은 정해진 조건 내에 차선과 간격 유지가 가능한 단계이다. 레벨 3부터는 주행 시 모니터링과 차량의 통제권이 운전자에서 시스템으로 온전히 넘어간다. 레벨 4는 고도 자동화로 대부분의 도로.. 2023. 4.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