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율주행자동차4

[흥미를더하다] 멀고도 가까운 LIDAR 시스템 원리 라이다 (LiDAR :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직진성이 강한 고출력 펄스 레이저를 송신하여 목표물에 맞고 수신되는 지연 시간을 분석하여 물체까지 거리 측정을 하는 센서입니다. 레이저의 직진성을 이용하여 먼 거리의 물체를 정확하게 빠르게 감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라이다 센서는 가격이 매우 높아 자율주행 자동차에 라이다가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느냐에 대한 논란이 많습니다. 따라서 라이다의 상용화에 있어 가장 큰 화두는 바로 가격 경쟁력입니다. 라이다 센서는 회전형과 고정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회전형 라이다는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하여 전방향으로 사물의 유무와 거리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센서.. 2023. 6. 28.
[개념쌓기] 영상처리? ✅영상처리? : 디지털 영상을 분석하고, 변환하고, 개선하는 기술 영상처리의 기본 개념과 기술 ▶영상 픽셀 : 영상은 픽셀(pixel)로 이루어져 있으며, 픽셀은 이미지에서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픽셀은 흑백 또는 컬러 값을 가지며, 픽셀의 집합으로 영상이 구성됩니다. ▶필터링 : 영상 처리에서 필터링(filtering)은 이미지를 부드럽게 하거나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영상의 경계를 강화하거나, 선명도를 조절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엣지 검출 : 엣지 검출(edge detection)은 이미지에서 경계선을 찾아내는 기술입니다. 엣지 검출을 통해 영상의 형태, 크기, 위치, 방향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객체 인식 : 객체 인식(object recognition)은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중요한 기술.. 2023. 4. 25.
[흥미를 더하다] 자율주행 자동차 :: ADAS 기술 자율주행 자동차가 거의 다 왔다. 이제 범블비만 기대하면 되는 것인가? 범블비 나오면 바로 한 친구 데려왔겠지만, 현실은 프로젝트 관해서 공부도 할 겸 기술이라도 제대로 인지하고자 공부하게 됐다. 자율주행 레벨 레벨 0은 비자동화라는 말 그대로 자율주행 시스템이 없는 비자동화 단계로 운전자가 모든 면에서 차량을 컨트롤하는 단계이다. 레벨 1은 운전자 보조 단계로 방향, 속도 제어 등 특정 기능은 자동화가 되어 있지만 운전자가 차의 속도와 방향을 항상 통제할 필요가 있다. 레벨 2는 부분 자동화를 이룬 단계로 고속도로와 같은 정해진 조건 내에 차선과 간격 유지가 가능한 단계이다. 레벨 3부터는 주행 시 모니터링과 차량의 통제권이 운전자에서 시스템으로 온전히 넘어간다. 레벨 4는 고도 자동화로 대부분의 도로.. 2023. 4. 20.
[흥미를더하다] 자율주행자동차 + @ = 트랜스포머? 자율주행기술레벨 ChatGPT에 관해 공부를 한 뒤로 AI 관련 기사와 내용을 보다 보니, 이것저것 궁금한 게 많이 생겨서 그런지 이쪽으로 유심히 찾아보고 있다. AI라는 말을 들었을 때, 생각나는 영화 두 개가 있다. 트랜스포머와 업그레이드 업그레이드 내용 : 사지마비가 된 주인공이 AI 칩 스템의 도움을 받아 움직일 수 있게 되나.. 안봤으면 보자 재밌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몇 천억개의 파라미터가 있는데 왜 AI가 생각하는 것보다 빠르게 성능이 개선되지 않을까? 그럼 이제 현실을 보면 된다. 현재 자율주행자동차로 유명한 곳인 테슬라를 우선 보자. 지금 영화에서 언급되는 업그레이드의 스탬(AI 칩)이나 트랜스포머를 보면 자발적으로 판단이나 사고가 가능한 자율주행 5단계 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현.. 2023.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