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 unix 에서 사용하는 vi 편집기는 명령모드, 입력모드, 마지막 행 모드로 총 3가지 모드로 구성되어있다.
흔히 사람들이 말하는 vi 명령어는 이 세가지 모드를 자유자재로 왔다갔다 하면서 코드나 글을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1️⃣명령 모드(command mode)
처음 vi 명령어로 vi를 시작할 때 맞이하는 모드이다.
방향키를 통해 커서를 이동 가능하며,
"dd" "yy"로 한 줄 삭제 및 한 줄 붙여넣기, 또는 "x"명령어로 글자 하나를 삭제할 수 있다.
2️⃣ 입력 모드(insert mode)
명령 모드에서 "i"나 "a" 명령을 통해 입력 모드로 넘어갈 수 있다.
입력 모드로 가게 되면, 코드나 글을 작성할 수 이다.
명령 모드로 다시 돌아오려면 "ESC"를 누르면 된다.
3️⃣ 마지막 행 모드(Last line mode)
마지막행 모드는 명령모드에서 ":"(콜론)을 입력하면 화면 맨 밑에 :_______하며 입력 공간이 나온다.
vi를 저장 종료 (wq),
그냥 종료 (q),
강제종료(!q)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반응형
'Language & Framework & G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LINUX 터미널 단축키 (24) | 2023.07.03 |
---|---|
[LINUX] find, grep의 차이 (13) | 2023.06.29 |
LINUX 우분투 터미널 다중 창 - 터미네이터(Terminator) (9) | 2023.06.20 |
LINUX VI 편집기 (4) | 2023.06.20 |
VI 명령어 간단정리 (0) | 2023.04.14 |
댓글
veganwithbacon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